매수 시점이 오는 세계 최대 규모의 온라인 쇼핑몰 기업, 알리바바 그룹(Alibaba)

안녕하세요~ 행복 찾는 사막 여우에요!
오랜만에 중국 기업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자 하는데요.
자! 같이 알아보시죠~

현재 알리바바 그룹은 뉴욕증권거래소에 BABA라는 티커로 상장되어 있어요.
설립일은 1999년 4월 4일이며, 창업자는 마윈이에요.
마윈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CEO 중 하나죠. 본사는 중화인민공화국 항저우에 있네요.

중국의 기업가 마윈이 1999년 차린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기업인 알리바바는 타오바오, 알리바바닷컴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텐센트와 함께 중국의 민간 대기업 투톱이라고 할 수 있어요. (현재 텐센트도.. 나락으로 간 상태)
기존에는 인터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사업을 하였지만 현재는 첨단 혁신 기술 회사로 탈바꿈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 컨설턴트 및 개발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가 되었는데요.
재작년 앤트 그룹을 앞세워 중구 금융제도를 혁신하는 과정에서 금융 규제 당국의 사고방식이 낡았다는 비판을 했다가 며칠간 잠적 후 나타난 마윈은 주주 명단에서 완전히 사라졌고 알리바바에 대한 지배력 행사도 더 이상 하지 않게 된 것으로 보여요.

2021년 3분기 실적 하이라이트를 보면 작년 대비 매출이 29%나 성장하였으며 중국 내 상업부 문과 국제 상업 부문,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에서 연간 매출이 30% 이상 성장했어요. 그러나 반면 EBITA(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드린 현금창출 능력)는 작년 대비 32% 감소하면서 힘든 모습을 보여주고 있어요. 그래도 주요 투자 전략인 상업 부문에서 수익이 늘어났다는 점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는 듯해요.

전반적으로 모든 사업 부문에서 매출이 작년 대비해서 크게 증가를 하고 있는 모습인데요.
자세한 건 각 사업 부문 별로 살펴보겠어요.

여전히 상업 부문의 매출은 매년 꾸준히 견고한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국내와 국외에서 알리익스프레스, 알리바바닷컴, Lazada(동남아 1위 이커머스 플랫폼), Trendyol(터키의 쿠팡) 등이 주문량 80% 증가하는 등의 귀염을 토하고 있는 상황이네요.

엄청난 속도로 상승하는 알리바바의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도 Anolis OS(개방형 시스템 OS)와 Yitian 710 chip(차세대 서버 칩)을 개발 및 시장에 내놓으며 지속적으로 과감히 성장하고 있는데요. 이번 베이징 동계 올림픽에서도 알리바바 클라우드의 "클라우드 미"라는 실시간 원격 미팅 기술을 선보이기도 했는데요.
현재 전 세계 클라우드 빅 3인 AWS, MS, 구글 클라우드들도 최근 분기에 39.5%, 32%, 45% 수준의 매출 증가를 내면서 고속성장하며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어요. 이들 중에서 구글은 최근까지 클라우드 사업 부문은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는데요. 한편에서는 알리바바 클라우드가 IaaS 시장 점유율의 9.5% 수준으로 구글 6.5%를 앞서고 있다고 발표하기도 했는데요. 압도적인 1위인 AWS 40.8%을 따라잡기에는 힘들겠지만 MS 애저 19.7%도 화웨이와 합치면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는 수준이 아닌가 생각해요.


끝으로 알리바바는 여전히 건전한 부채 비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긍정적인 현금흐름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최근 가치 투자 전문가인 소프트 뱅크도 포트폴리오에서 비중을 줄이는 모습인데요.
소프트뱅크가 지분 일부를 매각할 정도라면 반대로는 좋은 진입점이 곧 온다고 보이는데요.
그래서 저는 본격적인 매수하기 좋은 시기가 아닌가 개인적으로는 생각해요.
그 이유는 중국 정부의 빅테크 때리기로 시가총액이 거의 반 토막 난 좋은 기업들이 많다고 생각이 들었고
충분히 빅 테크 기업들에 대한 길을 잘 들여놓았다고 보고 있어요.
얼마 전에도 중국은 기준금리 인하하면서 필사적으로 경기 침체를 막고 있는 상황인데요. 그래서 빅 테크 기업 때리기도 이제 조금 멈추지 않을까 생각하는데요.

주가도 3최고치 300달러에서 현재 111달러 수준으로 3분의 1 수준인데요.
과거 시가총액 1000조에 달하며 전 세계 시가총액 6위에 들어가기도 했지만.. 지금은 370조 수준인데요.
이미 심하게 바닥으로 내동댕이 쳐진 알리바바는 이제 바닥을 다지고 있는 모습인데요.
여기까지 간단히 알리바바의 현 상황과 사업구조, 매출, 대차대조표 등을 간단히 살펴보았는데요.
여전히 견고하게 성장하는 사업을 보유하고 있고 현금흐름과 부채비율도 적당한 알리바바이기에
앞으로 매수의 관점으로 장기적으로 바라보면 매수하기 좋은 타이밍이 올 거라고 보이는데요.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