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세의 기본!! 양도소득세 계산기

안녕하세요. 행복 찾는 사막 여우예요.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에 살고 있기 때문에 인생을 살아가면서 자산(부동산, 토지, 주식 등)을 취득하고 파는 일이 생기곤 하는데요. 이렇게 자산을 구매하고 타인에게 팔 때 생기는 양도에 대한 세금이 붙죠.
그래서 오늘은 부동산 양도세 계산기 사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부동산 양도소득세 계산기 사용 방법(by 홈택스)
1. 홈택스(아래 url)에 접속합니다.

2. 홈택스 홈페이지 첫 화면에서 검색으로 '양도소득세 계산'을 검색합니다.

3. 양도가액, 취득가액을 아는 경우 / 취득가액을 모르는 경우(부동산만 가능) / 계산 내역 조회(기 입력된 2개 이상 양도 물건의 세액 계산 가능) 항목 중에서 해당 항목을 골라줍니다.

4. 저는 양도 가액 취득가액을 모두 안다는 경우 중 1개 부동산 양도세를 계산해 보겠어요.

5. 양도일자/취득일자/물건 종류/양도가액/취득가액 입력 후 세액계산하기 클릭합니다.
*1세대 1주택자로 취득 후 2년 이상 거주하면서 보유했다면 비과세 대상에 해당되니 항목 확인해야 해요.


6. 세액계산 결과를 확인합니다.
* 비과세 요건에 해당되어 세금을 떼지 양도소득세를 떼어가지 않는군요!

반면 2년 이상 보유하면서 거주하지 않은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세금을 떼는데요.

양도 가액에 따른 납부 세금도 자동으로 계산해 주고 그래프를 보여주는군요.

내야 할 세금이 2억 5천만 원 정도 되는군요.
1가구 1주택에 비과세를 적용받는 것이 정말 최고라는 생각이 드는데요.
하지만 이 또한 자산의 규모가 커지면서 받을 수 없는 혜택이니 꼼꼼하게 따져 절세를 하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