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eb3 관련 코인3

[3편] Circle과 Coinbase의 관계가 Web3 금융의 미래를 결정한다 [3편] Circle과 Coinbase의 관계가 Web3 금융의 미래를 결정한다"Web3의 진짜 설계자는 누굴까? 블록체인을 만든 개발자? 아니면 법을 만든 정치가? 아니다. 바로 자금 흐름을 설계한 '은행의 후계자'들이다."미국이 GENIUS Act를 통과시키며 '규제 가능한 스테이블코인'을 제도권에 받아들인 것은 단지 법적 승인에 그치지 않는다. 그 이면엔 새로운 질서가 있다. 디지털 달러 생태계, 그 한가운데에 있는 기업은 바로 Circle, 그리고 그 파트너인 Coinbase다.이번 편에서는 이 둘의 관계를 "Web3 중앙은행 vs 민간은행" 프레임으로 바라보고, 그들이 Web3 금융 전체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산업 구조 재편에 어떤 중심축이 되는지를 분석해본다.♥🧱 1. Circle과 Coi.. 2025. 6. 21.
[2편] GENIUS Act 이후, 미국 정부가 선택할 Web3 체인은? [2편] GENIUS Act 이후, 미국 정부가 선택할 Web3 체인은?"이제 코인을 고를 때, 기술 말고 규제를 봐야 한다."GENIUS Act는 단순히 스테이블코인을 합법화한 법안이 아니다. 그것은 미국이 Web3 생태계를 제도권으로 끌어들이며 동시에 '누구와 손잡을지' 선택한 신호탄이다. 그렇다면 미국 정부가 실제 국가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채택할 Web3 체인은 무엇일까? 이더리움? 솔라나? 혹은 아발란체?이번 글에서는 기술력, 파트너십, 확장성, 규제 친화성, 생태계 기반 등을 중심으로 주요 체인을 비교해본다.♥🏛️ 1. 정부가 원하는 Web3 체인의 조건은?미국 정부(특히 연준, SEC, 재무부)는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진 블록체인만을 '공공 시스템 인프라'로 고려한다.조건설명🧾 규제 친화.. 2025. 6. 21.
[1편] Web3란 무엇인가 — 디지털 소유권의 혁명 [1편] Web3란 무엇인가 — 디지털 소유권의 혁명"왜 갑자기 Web3야?"우리가 인터넷을 떠올릴 때, 생각나는 건 대부분 구글, 인스타, 네이버, 카카오 같은 플랫폼이다. 하지만 지금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그리고 미국의 GENIUS Act까지 이해하려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개념이 있다. 바로 Web3다.🧩 Step 1. Web1, Web2, 그리고 Web3구분시대특징대표 사례Web1~2005읽기(Read-only)네이버 블로그, 다음 카페Web22005~2020읽기 + 쓰기(Read-Write)인스타그램, 유튜브, 페이스북Web32020~현재읽기 + 쓰기 + 소유(Read-Write-Own)이더리움, NFT, 탈중앙 앱📌 Web3의 핵심은 단 하나: '소유권'Web2에서는 내가 올린 글, 사.. 2025. 6.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