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P주가 #BEP #BROOKFIELDRENEWABLEPARTNERS #BEPC #NYSE #BEP전망 #BEP실적 #TERP인수합병 #TERRAFORMPOWER인수합병 #미국주식 #해외주식 #에너지 #풍력발전 #태양광에너지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집에서 쉬다가 출근을 해서 그런지 비가왔지만 하루 종일 에너지가 좋은 날이었어요~
역시 휴식은 직장 생활에서 꼭 필요하다고 느꼈던 하루인데요.
오늘은 최근까지 제가 꾸준히 매수해오던 TERP(Terraform Power)라는 기업이
브룩필드라는 기업에 인수합병되었는데요. 인수합병하자 마자 주가가 급등하고 있어요.
그래서 이 브룩필드라는 기업에 관심이 가게되었고 살만한 가치가 있는지 알아보려고해요~
출처 : 브룩필드
브룩필드 리뉴어블 파트너사는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가 있는 재생 가능 에너지 자산을 소유하고 운영하는 공개거래 제한 파트너십 입니다. 브룩필드 자산 관리사가 60% 소유하고 있으며 2017년 기준으로 200개 이상의 수력발전소, 100개의 풍력 발전단지, 550개 이상의 태양열 시설 및 4개의 저장 시설을 소유하고 있다고 하네요.
설립은 2011년에 되었으며 CEO는 Sachin Shah라는 분이며 독립 전력 생산 업체로 알려져있어요.
2012년 부터 지속적으로 에너지기업을 인수합병하고 있는데요. 2012년에는 수력발전소, 2014년에는 아일랜드의 풍력 자산 포트폴리오를 2016년 2017년에는 테라폼파워와 테라폼 글로벌을 인수하겠다고 발표하고
최근 테라폼 파워 지분인수를 하였는데요.
현재 세계 최대의 공공 거래 재생 가능 전력 플랫폼을 운영하고 있으며 북미,남미,유럽 및 아시아에 5,288개의
발전 시설을 갖고 있으며 수력 발전 분야의 글로벌 리더이며 포트폴리오의 약 74%를 차지하고 있다고 하네요.
출처 : Google Stock
현재 뉴욕거래소에 상장된 BEP는 45.54달러이며 토론토 거래소에 상장된 BEPC의 경우에는 60 CAD인데요.
대략 한국 돈으로하면 54.000원 정도인데요. 테라폼 파워가 인수합병 전 거래 정지 주가가 19.35달러인걸 생각하면 대략 0.5개의 BEP를 얻으니 벌써 10%이상 추가 상승 한 것인데요.
저 위의 두 주식의 가치는 동일한데요.캐나다 토론토에 상장된 BEPC의 경우에는 언제든 교환이 가능하며
뉴욕에 상장된 BEP는 동일하게 배당금을 지급 받을 수 있다고 하네요.
출처 : BEP Annual Report 2019
BEP의 전체 자산은 60조 정도이며 전력 케파는 18,900 MW 인데요. 15개국에 5개의 기술 섹터를 갖고 있어요.
BEP는 안정적이고 지속적이고 수익을 내면서 성장하는 것을 핵심가치로 삼고 있는데요.
출처 : BEP Annual Report 2019
그냥 보면 허무 맹랑한 이야기 같지만 그들은 매년 주가나 실적으로 이를 증명을 해오고 있어요.
S&P 500지수보다 더 큰 상승률을 보이고 있네요.
출처 : BEP Annual Report 2019
지난 5년간 재생가능 에너지에 투자한 금액은 1.5조 달러의 금액이며 태양광, 풍력에 75%정도 투자를 했네요.
5년간 투자한 금액은 실로 엄청나네요. 삼성전자의 시가총액의 절반을 투자했다고 생각하면 쉽겠네요.
출처 : BEP Annual Report 2019
최근 워랜버핏이 도미니언 에너지에 투자했다는 소식을 들은 바 있는데요.
왜 천연 가스에 투자를 했는 지 위의 그래프를 보면 쉽게 이해가 되는데요.
북미와 유럽에 석탄을 사용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가스의 사용이 상대적으론 늘고 있네요.
그러면 당연히 천연 가스의 사용이 늘면서 수요가 많아지니 가격이 상승하지 않을까 싶네요.
하지만 전체적으로 지속적으로 줄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요. 그래서 브룩필드에서 추구하는
지속적으로 재생산이 가능한 에너지의 가치는 점점 증가할 것임을 알 수 있는데요.
매년 재생 가능한 에너지에 대한 투자가 지속적으로 상승해 시장이 증가할 것은 분명해 보이네요~
출처 : BEP IR 1Q 2020
현재 BEP는 총 자산은 32조 정도되며 부채는 총 자산의 50%정도를 차지하고 있어요.
2020년 1분기 기준 1450억정도의 순이익을 남겼는데요.
2019년 1분기 대비 20% 가량 감소했다는 것을 알 수 있네요. 1년이면 6000억 정도의 순이익이 남기에
총 자산 대비 수익은 작다고 생각할 수 있으나 실제로는 전력도 생산하면서 친환경으로 자연에 보탬이 되기에
부가적인 것까지 생각한다면 더 많은 수익을 얻는 것인데요.
출처 : BEP IR 1Q 2020
BEP가 지향하는 가치는 단순히 돈을 버는 기업이 아닌 인류의 미래에 도움이 되는 기업이라는 생각이드는데요.
앞으로도 꾸준히 BEP에 투자를 해보려고해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으로 인수합병된 TERP 주주들과 기존 BEP 주주들이 갖는 장점들에 대해서는 아래 그림을 참고하셔요~
'미국주식 파헤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derna, Inc.(MRNA) (0) | 2021.01.19 |
---|---|
CVS Health Corp.(CVS 헬스 코퍼레이션) (0) | 2021.01.19 |
프록터앤드갬블(P&G)실적과 전망 (0) | 2020.08.02 |
WIMI(Wimi Hologram Cloud Limited) (0) | 2020.07.26 |
ASML(ASML Holdings) (0) | 2020.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