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이 쉬워지는 공간_생활끝판왕

바쁜 현대인들이 생활 속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블로그입니다. 효율적인 살림법, 시간 절약, 경제적 꿀팁 등을 다룹니다.

삶이 쉬워지는 공간

미국주식 파헤치기

백신 개발 기간을 줄이는 바이오 테크 소프트웨어 업체, CERT(CERTARA)

삶쉬공 2021. 1. 20. 00:01
반응형

#CERT #CERT주가 #CERTSTOCK #CERTARA #CERT전망 #세테라 #바이오테크소프트웨어 #바이오백신시뮬레이션 #CERT재무제표 #CERT손익분기표 #CERT경쟁사 #바이오테크 #바이오시뮬레이션 #Charles River Laboratories(CRL) #CERT경쟁사비교 #SimulationPlus

안녕하세요~ 

오늘은 바이오 테크기업에 시뮬레이션을 제공하는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기업인 CERTARA라는 기업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최근 상장되었고 소프트웨어 기업이라는 점에서 저는 큰 매력을 크게 느끼고 있어요.

CERT 기업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가상 임상실험을 해서 그 임상실험을 짧게 줄여주는 역을 하는데요.

이를 통해 바이오 테크 기업이 백신이나 의약품을 만드는 사이클 시간을 줄이고 비용을 절감하여 환자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데요. 이 바이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피닉스 PK/PD, 심시프 PBPK)를 사용하는 고객은 FDA의 모든 신약 승인의 90% 이상을 성공했다고 하네요.

CEO는 윌리엄 에피리 박사로 DuPont의 세르타라에서 합류해 현재 CEO인데요.

화학 공학 박사학위와 MIT의 MBA를 보유하고 있네요. 공학자이면서 동시에 경영도 하는 CEO이네요.

그전부터 듀폰 산업 생명과학 사장으로 재직하면서 생명공항 사업을 통해 상당한 성장과 수익을 내고 있었어요.

또한 West Pharmaceutical Service(NYSE : WST)의 이사회 멤버로도 활동하고 있어요.

개인적으로는 현재의 CERTARA와 아주 잘 어울리며 이끌고 있다고 보여요.

상장한지는 얼마 안 된 CERTARA는 현재 이미 많은 고객들을 확보하고 있는데요.

60개국에 걸려서 고객사가 1,600개 이상의 글로벌 바이오 제약회사, 선도적인 학술기관 및 기관들을 포함하고 있다고 해요. 이들은 임상실험 전에 CERT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고 FDA 신약 승인의 90% 이상을 받았다고 하는데요. 현재 CERTARA는 고객사가 1600개 정도 되며 세계 60여 개국에 분포하고 있는데요.

 

출처 : https://finance.yahoo.com/quote/CERT/financials?p=CERT

올해 2020년 9월까지 매출 추세를 보면 매년 15% 이상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순수익 적자폭이 정말 매년 엄청난 폭으로 줄고 있는데요. 2020년 4분기 실제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으며 2021년 수익은 더욱더 기대가 되는데요.

적자가 오래 지속되어 상대적으로 부채가 많을 거라고 생각했지만 실제 2018년, 2019년 비율을 보면 40% 정도로 양호한 편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앞으로 지금 추세라면 2021년 2022년에는 더 큰 성장을 할 거라고 보이네요.

Certara

Certara is the global leader in advancing modern, efficient drug development. We provide proven modeling & simulation, regulatory science, and scientific value assessment software and services to help our clients reduce clinical trial burden, accelerate regulatory approval and increase patient acces...

www.youtube.com

위는 CERTARA를 소개하는 CERT에서 유튜브에 올린 영상인데요.

한국어로 번역해서 볼 수 있어서 좋아요.

요약하자면 먼저 문제점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요.

어린아이, 노인마다 백신이 필요한 복용량이 다르기에 많은 임상 실험 대상을 늘려야 하지만 윤리적인 문제로 그렇게 하지 못한 상황이라고 말하면서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임상 실험을 진행할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 있어요.

순서는 다음과 같아요.

 

 

1. 성별, 체중, 나이, 유전학적 특성, 식단, 의약품을 고려하여 가상 환자를 제작

2. 그동안 쌓은 데이터들을 이용해 가상 환자들을 새로운 백신과 의약품이 어떻게 작용되는지 가상실험 진행

3. 실험을 통해 도출한 결과로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복용량과 약을 선

4. 실제 대상자들을 선별하여 임상실험을 진행

경쟁사는 Simulation Plus Inc, Charles River Laboratories 기업이 있으며 모두 미국에 상장되어 있어요.

 

각 기업들을 비교하면 현재 주가는 Charles River Laboratories(CRL)가 273달러로 가장 높으며 CERT가 36달러로 가장 낮은데요. 시가총액 면에서는 CERT는 5조 원 정도인 반면 Simulation Plus(SLP)는 1조 4천억 Charles River Laboratories는 13조로 CERT에 비해 2.6배 이상 큰데요.

PER를 보면 CERT 빼고는 전부 흑자임을 알 수 있네요. CERT는 아직 마이너스네요.

SLP는 작지만 배당도 주고 있네요.

다음은 매출을 보면 CRL이 역시나 26억 달러로 CERT가 2억 달러로 13배 정도 차이가 나네요.

당기순이익은 PER에서 봤던 것처럼 CERT만 아직 적자인데요. 2020년 9월 흑자전환으로 돌아섰으니 2021년에는 조심스레 흑자를 기대할 수 있겠네요. 총자산은 CERT가 CRL에 비해 1/5 정도고 부채는 SLP가 총자산의 8%로 아주 건전하네요. CERT도 50% 수준으로 건전하고요. CRL은 60% 정도 차지하네요.

(자산이나 부채 상태는 2019년도 기준으로 보이네요. 2020년에는 CERT의 부채 비중은 실제로 더 개선되었어요.)

이렇게 경쟁사들과 재무 상태와 주가, 시가총액 등을 비교해 보았는데요.

이제 흑자 전환을 시작한 CERT는 당장은 경쟁사 대비 재무적인 부분에서는 좋다고 표현하긴 힘들지만 적자인 상태치고는 재무 상태가 탄탄하며 매출이 15% 이상 증가하고 있고 흑자전환을 최근에 했다는 부분에서 매력적이라고 생각되네요.

 

끝으로 CERT는 주가는 상장 후 29.7달러까지 떨어졌다가 초고가 41.79달러를 찍은 후

현재 36.34달러에 위치하고 있는데요. CLP, CRL이 모두 5년간 525%, 261% 주가가 상승한 것을 생각한다면 CERT도 주가가 상승 곡선을 보여줄 것이라고 조심스레 기대해보는데요.

저는 40달러 이하에서 조금씩 꾸준히 매수를 해볼까 생각해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