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평소에 꾸준히 매수 중인 미국 주식 블룸에너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해요.
출처 : Bloomenergy.com
Bloom energy는 SOFC타입의 3세대 연료전지 전문기업으로 2018년 뉴욕증권거래소에
성공적 IPO를 하게 되었어요. 본사는 캘리포니아주 산호세에 위치하고 있어요.
현재 총 600개의 Site에 350MW 설치 운영 중에 있어요.
첫 고객이 구글이었으며 현재는 코카콜라, 애플, 월마트 등의 글로벌기업과 발전소에
연료전지 발전 설비를 제공하고 있어요.
CEO는 KR Sridhar로 미국 애리조나대 교수로 근무하던 시절
미국 NASA로부터 화성에서 인간이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해달라는
요청을 받았고 화성의 이산화 탄소를 분해해 산소와 연료를 만드는 장치를 개발하게 되죠.
하지만 2001년 이 프로젝트가 끝이나면서 역발상으로 산소와 연료를 이용해 에너지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만들게 됩니다. 이후 Bloom energy는 초기 Ion America라는 스타트업으로 시작하게되는데요.
초창기에는 '에너지 업계의 구글'이라는 별칭으로 떠올랐어요.
출처 : 블룸에너지코리아
위 그림은 보면 연료전지의 방식도 여러가지인데요.
기존의 1,2세대 연료전지인 PEFMC, PAFC, MCFC의 경우에는 작동 온도가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발전 효율이 47%이하로 그다지 높지 않아요. 하지만 3세대 연료전지기술인 SOFC의 경우에는
발전효율이 60%정도로 발전소, 회사, 주택에서도 높은 효율로 사용이 가능해요.
출처 : Bloomenergy.com
출처 : Bloomenergy.com
이러한 블룸에너지의 SOFC 방식의 블룸에너지를 서버를 이용하면
에너지 절감,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투자 대비 비용 절감, 에너지 저장등의 많은 이점들을 누릴 수 있어요.
그래서 이미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블룸에너지 서버를 사용하고 있어요.
(아래는 실제 블룸에너지 홈페이지에 젯한 고객사들인데. 사실 더 많아요.)
출처 : Bloom energy.com
또한 블룸에너지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이 다른 발전소보다 가장 낮은 것을 알 수 있는데요.
이는 석탄을 활용한 발전소보다는 3배 가량 낮으며 천연가스를 활용한 플랜트보다는 20%가량 낮아요.
이는 블룸에너지가 추구하는 지구 환경 개선과 인류의 삶의 질 향상이라는 가치가 잘 녹아다고 볼 수 있어요.
출처 : Bloom energy annual report
재무제표를 보면 매출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지만 순이익은 적자인 상황인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가 지속적으로 투자하는 이유는 매출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으며
블룸에너지 서버를 설치해주는 비용은 감소하고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에요.
또한 리스를 해주는 서비스는 제공하는데. 이 또한 매출이 늘고 있어요.
허나 여전히 초기투자금 대비 이익을 보려면 장기간 활용을 해야해요.
(유지비, 각 Site별 설치비, 제품 생산단가 비용 절감을 위한 투자등으로 인한 손실이 있어요.)
아직까지는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환경 오염문제가 점점 더 이슈된다면
많은 나라들이 관심을 가질테고 결국은 좀 더 친환경적인 고체연료전지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해요.
블룸에너지에서는 3세대 SOFC기술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에 그치지 않고 4세대 고체연료전지 기술도
연구 개발 중에 있으며 이는 효율이 3세대 보다 더 높을 것이라고 하네요.
블룸에너지는 앞으로 인류가 나아가야할 길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출처 : 영웅문S 글로벌
블룸에너지의 주가는 상장이후 지속 하락해 최저점 2.44달러이후 반등해 가는 추세였는데요.
코로나로 인해서 다시 최저점 근처인 3달러 이후 반등해 현재는 8.21달러에 위치하고 있어요.
제 생각엔 Covid-19로 인해서 실적이 없는 기업들에게 치명타였다고 생각해요. 블룸에너지도 마찬가지구요.
허나 10년 뒤에는 Bloom Energy는 훨씬 더 높은 가치를 가진 기업이 되어있을 거라고 생각하기에
여전히 낮은 가격이라고 생각해요.
SK건설·블룸에너지, ‘블룸 에스케이 퓨얼셀’ 설립 - 투데이에너지
[투데이에너지 홍수인 기자] SK건설과 블룸에너지의 합작법인 ‘블룸 에스케이 퓨얼셀’ 설립과 동시에 연료전지사업을 본격적으로 나선다.SK건설은 지난 16일 세계적인 연료전지 주기기 제작...
www.todayenergy.kr
한국의 SK건설도 블룸에너지와 합작해 블룸SK 퓨어셀을 설립해
연료전지 기술력을 확보 및 세계 연료전지 시장에 진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요.
앞으로 더욱 발전해 일자리 창출과 국가 기술 경쟁력에 도움이 되었으면 하네요.
오늘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당!!
'미국주식 파헤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AAL(American Airlines) (0) | 2020.07.25 |
---|---|
ZM(Zoom Video Comunications) (0) | 2020.07.25 |
PEP(PEPSICO) (0) | 2020.07.25 |
WAYFAIR (0) | 2020.07.25 |
PYPL(PayPal Holdings, Inc.) (0) | 2020.07.25 |